정보광장

HOME 정보광장 일반자료실

일반자료실

[개원]의원 개설 및 증개축 ‘1종 근린생활시설’만 개설 가능(‘2종 근린'에서는 불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20-05-23 08:06 조회8,558회 댓글0건

본문

[개원]의원 개설 및 증개축 ‘1종 근린생활시설’만 개설 가능(‘2종 근린'에서는 불가)

- 기존 1.2종 근린생활시설-->1종 근린생활시설만 개설 가능

- '건축법 시행령' 개정안 1월 23일 시행, 이전할 때도 주의해야

-  건물 용도 확인은 건축물대장으로 가능, '정부24 홈페이지(www.gov.kr)'에서 인터넷으로도 열람 가능

 

건축법 시행령이 개정되어 앞으로는 의원 개설은 ’1종 근린생활시설‘만 가능합니다. 

따라서 개업을 할 때는 당연히 꼭 챙겨 보셔야 하지만, 이전하는 건물도 확인 하셔야 하고, 기존 의원을 양도.양수 하는 경우 ‘2종 근린'인 경우 개설 허가가 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음 의협신문 기사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원문 바로가기: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4655

 

2020년 1월 23일부터 적용된 '건축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의원을 개설하거나 이전을 준비할 경우 '건축물 용도'를 더욱 꼼꼼히 따져봐야 할 필요가 생겼다.

건축법 시행령 제14조 제4항은 2019년 10월 22일 개정, 2020년 1월 23일부터 시행됐다. 기존에 없던 조항이 추가되면서, 많은 업종이 기재사항 변경신청을 의무적으로 해야만 입점이 가능해졌다.

주목할 점은 '의원' 역시 여기에 포함됐다는 것. 현행 건축법상 병·의원·치과의원·한의원·조산소·산후조리원 등은 1종 근린생활시설로 분류된다.

시행령 개정 전에는 근린생활시설군 간의 용도변경 절차 생략이 가능했다. 개정 전에는 1종·2종에 상관없이 근린생활시설일 경우 의원 개설 신고가 가능했다.

하지만 개정된 시행령에 따라 건물 용도가 '1종 근린생활시설'일 경우에만 개설 신고가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현재 시군구 보건소는 2종 근린생활시설인 경우 의원 개설 신고서를 접수하지 않고 있다.

만약 2종 근린생활시설에 꼭 개원해야 할 경우라면, '1종 근린생활시설' 용도 변경 절차를 밟아야 하므로 건물주와의 협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용도 변경 절차가 간단한 문제는 아니다. 1종 근린생활시설과 2종 근린생활시설의 가장 큰 차이점은 '장애인 편의 시설'이다.

1종 근린생활시설 건물에 포함된 모든 의원은 바닥면적 합이 500㎡일 경우, 장애인 편의시설을 갖춰야 한다. 예를 들어, 어떤 건물에 치과, 병·의원 등의 합이 500㎡를 넘는다면, 장애인 편의시설을 갖춰야 한다.

이에, 계약 전 건물 용도 확인과 해당 건물의 병·의원, 치과 등의 입주 현황 등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

 

건물 용도 확인은 '건축물대장'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건축물대장은 '정부24 홈페이지(www.gov.kr)'에서 인터넷으로도 열람 가능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일반자료실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73 [복지부]추천.보증에 관한 표시광고 심사지침 개정안(인스타, 유튜브 뒷광고 주의사항. 경제적 이해관계 공개 … 인기글첨부파일 09-10 2439
172 [복지부]진료거부의 정당한 사유 예시 인기글첨부파일 09-08 2745
171 [노무]해고통지, 반드시 문서나 등기우편으로(문자, 이메일, 사내 통신이나 통지서를 찍은 사진 전송은 인정되… 인기글 09-03 2873
170 [정보]의협에서 대행하는 개인정보보호 자율점검 서비스 꼭 받아야 하나요? 인기글 08-24 3401
169 [법률]원내 낙상사고(안전사고), 병원 책임 비율(관리 범위 내 발생 여부 및 예방 가능성 고려하여 판결) 인기글 08-01 3872
168 [질본]진드기(mite, tick) 매개 감염병(Rickettsia tsutsugamushi, HFRS) 인기글첨부파일 07-24 2280
167 [보험]법정비급여(인정비급여) Vs 임의비급여 인기글 07-20 42642
166 [보험]원격협의진찰료 산정기준 및 산정방법, 의료법 제34조(원격의료) 인기글첨부파일 07-20 3177
165 [법률]복지부 직원없이 심평원 직원만으로 시행한 현지조사는 무효 인기글 07-14 1932
164 [복지부]유형별 의료광고 사례 및 체크리스트 발간.의료광고 가이드라인(SNS 해시태그.허위경력.유인알선.비급… 인기글첨부파일 07-07 2614
163 [보험]진찰료 야간가산의 적용기준(평일 18시.토요일 13시 이후, 진료를 개시한 시각을 기준으로) 인기글 07-02 2335
162 [보험]중증화상 산정특례 기준 인기글첨부파일 05-26 4242
열람중 [개원]의원 개설 및 증개축 ‘1종 근린생활시설’만 개설 가능(‘2종 근린'에서는 불가) 인기글첨부파일 05-23 8559
160 [법률]전화 진료 ’불법‘ 판결(의료법상 처방전 작성.교부를 위한 진찰의 기준) 인기글 05-21 1703
159 [법률]사무장병원 밀린 임금 및 퇴직금, 의사 아닌 '사무장' 책임 판결 인기글 05-11 1696
게시물 검색